[SOH] 지난 6월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 반대로 시작된 홍콩 시위가 정부와 시위대간 갈등으로 날로 격화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에 따르면 8월의 첫 주말인 3일(현지시간) 송환법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와 행진이 정관오(將軍澳)와 홍콩섬 서부 지역 케네디타운 벨처베이 공원 등 두 곳에서 진행됐다. 이날 시위에는 주최 측 추산 12만명, 경찰 추산 4200명이 참여했다.
정관오 시위에서 홍콩 시민들은 '송환법 철폐하라', '폭동 규정 철회하라' 등의 구호가 적힌 팻말을 들고 포츠이 공원에서 벨로드롬 공원까지 행진했다. 일부 시위대는 정관오 경찰서로 몰려가 '나쁜 경찰' 등의 낙서를 하고 계란을 던지기도 했다.
이날 오후 홍콩섬 서부 벨처베이 공원에서 열린 송환법 반대 집회에서는 집회가 끝난 후 일부 시위대가 경찰이 불허한 도심 행진을 감행하며 중국 연락판공실(중련판)에 접근하자 경찰은 최루탄을 쏘며 저지했다.
경찰은 또 시위대 공격을 막기 위해 중련판 밖에 물대포도 배치했다. 홍콩 시위 현장에 물대포가 배치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시위에서도 일부 시위자들이 중국에 대한 강한 반감을 표출했다. 보도에 따르면 검은 복장을 한 시위자 4명이 빅토리아 하버 부둣가 게양대에 걸려있던 중국 오성홍기를 끌어내려 바다에 내던졌고, 한 남성은 ‘홍콩 독립’이라는 깃발을 내걸고 “우리는 자유를 잃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렁춘잉(梁振英) 전 홍콩 행정장관은 이들을 검거하기 위한 제보에 100만 홍콩달러(약 1억 5000만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앞서 21일에 진행된 송환법 반대 시위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연락사무소 밖에 내걸린 중국 국가 휘장에 검은색 페인트를 뿌리고 계란을 투척했으며, 건물 벽에 검은색 스프레이로 반중 구호를 쓰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모욕하는 낙서를 하는 등 중국에 대한 강한 반발을 표출한 바 있다.
5일에는 50만명이 참여한 총파업과 함께 홍콩 도심 전역에서 격렬한 시위가 벌어져 도시 기능이 사실상 마비됐다. 홍콩 역사상 전례없는 일이다.
이날 총파업으로 200편이 넘는 항공편들이 취소되고 지하철도 멈춰선 가운데 홍콩 남북을 잇는 해저터널 크로스하버 터널이 봉쇄되기도 했다.
파업을 주도한 홍콩 범민주 진영과 홍콩 노총(HKCTU)은 항공·교통·식음료 등 20개 이상 분야에서 50만명 이상이 동참한 것으로 추산했다.
공항에서는 항공 관제사 20여명을 포함한 민항처 직원 3분의 1인 약 2000명이 무더기 병가를 내면서 수백편의 항공기 운항이 취소되고 무더기 연착 사태가 벌어졌다. 시내에서는 지하철과 버스 운행이 사실상 중단돼 출근길 교통 대란이 벌어졌다.
이날 일부 시위대는 오전 7시 30분부터 베드타운인 다이아몬드힐·라이킹·포트리스힐·위안랑 역 등 4개 지하철역에서 객차 출입문에 걸터앉거나 열차 내 비상 정지 버튼을 누르는 등의 '비협조 행동'을 통해 열차 운행을 막았다.
이로 인해 최소 15개 지하철역에서 운행 중단 사태가 빚어졌고 홍콩섬과 홍콩국제국항을 잇는 공항 급행선의 운행이 한때 전면 중단되는 등 전체 8개 지하철 노선 가운데 7개 노선이 운행에 차질을 빚었다.
시민들은 지하철이 중단되자 버스를 이용하려 했지만, 홍콩 버스노조 소속 기사 상당수가 병가를 내고 총파업에 동참해 교통 이용에 큰 불편을 겪었다.
오후 8시쯤에서 앞서 12일에 발생한 것과 유사한 ‘백색테러’가 또 발생했다. 홍콩 노스포인트 지하철역 인근에서는 흰 티셔츠를 입은 남성 수십명이 목봉으로 시위대를 공격했다.
람 장관은 이날 2주일만에 기자회견을 열어 홍콩이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며, 시위대의 행동은 일국양제(一國兩制·1국가2체제)라는 기본원칙에 도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콩 경찰은 이날 80여명의 시위대를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6월 시위 시작 이후 지금까지 420명의 시위대가 체포된 것으로 알려져 총 체포자 수는 500명을 넘어섰다.
한편, 6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홍콩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지난 4일부터 사흘 연속 대규모 폭동 진압 훈련이 진행돼 송환법 반대 시위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고 있다.
선전시 선전만 일대에서 진행된 이번 훈련에는 1만 2000여명의 경찰병력과 헬리콥터 6대, 쾌속정 10여대,폭동 진압용 장갑차 등이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