吸收外国先进技术 韩国靠品牌增强竞争力
品牌成为经济实力象征
提起韩国,人们都会自然而然地想起三星、现代和LG等知名品牌。韩国企业自主品牌的形象,既代表了韩国的国家形象,也象征着韩国的经济实力。今年7月下旬美国《商业周刊》公布的“2005年全球100知名品牌”中,韩国占了3个,分别是居第二十位的三星,第八十四位的现代和第九十七位的LG。
记者在采访中了解到,目前,韩国在电子、汽车、化妆品和文化产品等领域,都已拥有世界级的品牌。这些品牌为推动出口发挥了重要作用。以南美市场为例,过去的4―5年中,三星和LG的显示器占到了市场份额的七成以上;而在高端手机市场,这两大韩国企业则分别占据了40%的市场份额。韩国多年在世界造船市场上也占有最大份额,2004年达到了44%的市场占有率;韩国产的计算机存储器占世界市场50%以上;超薄液晶显示装置的世界市场占有率为37%……靠品牌引领,韩国产品在国际市场上不断扩张。
技术支撑品牌生命
曾经为日本企业打工的三星一直以超越日本品牌为目标。在美国《商业周刊》今年发布的知名品牌排名中,韩国三星首次以149亿美元的品牌价值超越了索尼。
2004年,三星总资产达到2094亿美元,其中纯利润118亿美元。几天前,三星的朋友又告诉记者,三星电视机在世界市场的份额已经超过10%,为三星又创造了一个市场占有率第一。这使它“到2010年将占据世界第一的产品从目前的21种增加到50种”的计划又迈进了一步。
准确的品牌和市场定位使三星将力量集中到一个拳头上,集中发展电子、金融等核心行业。三星突破传统的“低价争市场”观念,给产品注入“数字技术的领先者”、“高档高价值”、“时尚”等元素,令消费者将三星产品的“高价”与“质优”联系起来。“三星”进入了高档产品的行列。
为了增加品牌的独特性,从2000年开始,三星每年增加设计预算20%―30%,在伦敦、洛杉矶、旧金山、东京和上海都建立了设计中心。目前三星设计竞争力的中心是“设计银行”,这是一个汇聚三星设计师创意的仓库,他们可以根据任何时期的流行趋势,从这个银行取出适宜的设计。这使新产品投入市场的时间提前了几个月。
在许多国家都可以看到韩国美女为三星产品所做的广告。全球统一的营销和广告策略,提升了三星的品牌形象。从1988年开始,三星先后投入巨资赞助奥运会及亚运会,迅速提高了品牌在国际上的认知度。2001年,三星在全球30个国家内进行了广告整合,广告花费高达4亿美元。
韓國 브랜드가 세계를 누빌 수 있는 이유
韓, 브랜드+기술 접목해 세계에 '우뚝'
▲10년 동안의 연구·개발을 통해
고속철도가 수도인 서울에서 정식 운영됐다.
브랜드가 곧 '경쟁력'
한국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삼성, 현대와 LG 등 유명 브랜드다. 한국기업의 독자 브랜드 이미지는 한국의 이미지를 대표할 뿐 아니라 한국의 경제력도 상징한다. 올 7월 미국 ‘비즈니스 위크’가 발표한 『2005 세계 100대 유명 브랜드』에서 한국 브랜드 3개가 선정 됐다. 바로 20위 삼성, 48위 현대와 97위 LG다.
현재 한국은 전자, 자동차, 화장품과 문화 제품 등 분야에 모두 세계급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브랜드는 한국 수출 추진에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고 있다. 과거 4~5년 사이 남미 시장에서 삼성과 LG 모니터 시장 점유율은 70% 이상을 차지했다. 첨단핸드폰 시장에서 두 회사는 각각 4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다년간 세계 조선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44%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한국산 컴퓨터 메모리가 세계 시장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초박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37%다. 브랜드에 의거해 한국 제품은 국제 시장에서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다.
기술, 브랜드를 지탱하는 '파워'
과거 일본기업을 위해 뛰어온 삼성은 일본 브랜드를 초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미국 '비즈니스위크'가 올해 발표한 유명 브랜드 순위 중 삼성이 최초로 1백49억 달러의 브랜드 가치로 소니를 초월해 목표를 달성했다.
2004년 삼성 총 자산은 2천94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중 순이익이 1백18억 달러다. 삼성 TV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이미 10%를 넘어섰다. 이는 삼성을 위한 또 하나의 시장 점유율 1위를 창조했다. '2010년 까지 세계 1위를 차지한 제품을 현재 21가지에서50가지로 증가’하려는 계획 실현에 더 가까워졌다.
정확한 브랜드와 시장의 확정 위치는 삼성이 역량을 전자, 금융 등 핵심 업계에 집중시키도록 했다. 삼성은 전통적인 '저가 시장' 이라는 이미지를 타파하고 제품에 ‘디지털 기술의 선두자’, '고급', '유행' 등 이미지를 불어 넣었다. 이로인해 소비자들은 삼성 제품 하면 '고가', '품질 우위' 를 먼저 떠올리게 됐다. '삼성'은 고급 제품 행렬에 진입한 것이다.
브랜드의 특수성을 강화하기 위해 2000년부터 삼성은 매년 예산액을 20 ~30% 늘였다. 런던, 로스엔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도쿄와 상하이에 모두 설계 센터를 구축했다. 현재 삼성 디자인 경쟁력 중심은 '디자인 은행'이다. 이는 삼성 모든 디자이너들의 창의를 집결한 창고이다. 그들은 어떠한 시기의 유행 추세에 근거해 이 은행에서 적합한 디자인을 가져온다. 이로써 신제품의 투입시간을 몇 개월 앞당겼다.
현재 세계 여러 국가에서 한국 미녀 스타들의 삼성 광고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세계 통일적 판매와 광고 책략은 삼성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였다. 1988년부터 삼성은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에 거액의 자금을 투자했다. 국제사회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신속히 높였다. 2001년 삼성은 세계 30개 국가에서 4억 달러에 달하는 광고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