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월 중순 남아시아 국가들을 방문했다. 티베트 망명자를 다수 받아들이고 있는 네팔에서는 시 주석의 체류 기간 중 양국의 용의자 양도 조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네팔 정부는 합의를 보류했다.
히말라야 산맥 남쪽 산기슭에 위치한 네팔은 중국 티베트 자치구와 긴 국경선을 맞대고 있다.
네팔에는 중국 당국의 탄압을 피해 넘어 간 약 2만 명의 티베트인들이 있으며, 매년 수 천 명의 티베트인들이 그들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 14세와 만나기 위해 왕래하고 있다.
중국공산당(중공)은 달라이 라마 14세와 티베트 망명자들을 ‘분단주의자’라고 비난하며, 이들에게 협력하는 관계국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네팔 현지 매체 <카트만두 포스트>에 따르면, 시 주석이 네팔을 방문하기 전 현지에서 수십 명의 티베트인들이 경찰에 구속됐다.
신문은 티베트인 활동가의 말을 인용해 “모든 시민에게는 정치적 의견을 가질 권리가 있으며, 정부가 올바른 입장을 취하지 않을 경우,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네팔 정부는 이번 시 주석의 방문 기간에 무역협정과 형사 수사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망명 티베트인의 중국 송치를 예측한 ‘용의자 인도 조약’과 방위 협정, 항만 접근 특별 개방, 새로 건설되는 국회의사당의 건설비 지원안, 군과 경찰을 육성하는 방위 대학교에 대한 중국의 지원, 국경도로 건설에 관한 제안 등은 보류했다.
인도 매체 ‘이코노믹 타임즈’에 따르면 바브람 전 네팔 총리는 주권 침해가 우려되는 중공의 제안들은 합의하지 말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인도 방문을 마치고 네팔을 방문한 시 주석은 수도 카트만두에서 올리 총리와 회담했다. 시 주석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중국을 분열시키려는 기획은 망상이고 최후에는 실패할 것”이라고 강하게 표현하고, ‘분골쇄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티베트 망명자를 견제했다. 중국 주석의 네팔 방문은 23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이날 향후 2년간 네팔 개발 원조를 위해서 560억 루피(약 9,284억원)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네팔은 2017년 중공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경제권 구상) 사업에 참여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인디아 투데이’에 따르면 양국은 이 합의에 따라 티베트 자치구에서 카트만두까지 연결하는 철도 건설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