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관영 CCTV가 지난 19일 개발 중인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과 관련해 ‘3종류의 백신이 3단계 임상실험 중 제2단계를 마쳤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백신이 실용화된 후 아프리카에 먼저 제공될 것으로 알려져 시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7일 베이징에서 아프리카 국가 정상들과 코로나19 바이러스 방역대책 협력에 관한 화상회의를 가졌다.
시 주석은 당시 회의에서 각국 정상에게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해 실용화한 후 아프리카 국가에 우선적으로 제공할 것과 △2020년 말 상환 기한인 아프리카 각국의 무이자 채무 상환 면제를 약속했다.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이 화상회의에는 르완다를 비롯해 콩고, 에티오피아, 짐바브웨 등 각국 대통령과 아프리카 연합위원회 위원장,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에 대해 중국사회는 강하게 반발했다. 인터넷에서는 ‘당신들은 아프리카 정부인가, 중국 정부인가?’, ‘명백한 매국 행위다’, ‘우리의 주택대출도 면제하라’는 등의 비난이 빗발쳤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러한 입장에 대해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중국에 등을 돌리고 있기 때문에 우방을 만들기 위해 아프리카에 필사적으로 매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은 앞서 지난해 9월에도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구축에 열을 올렸다. 당시 왕이(王毅)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유엔 본부에서 가진 아프리카 각국 외교장관들과의 회담에서 “아프리카 국가를 ‘형제’로 호칭하며 이들에 대한 전면적인 지원과 협력을 강조했다.
한편, 지난 4월 아프리카 각국의 주중 대사들은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감염 방지 대책에서 광둥성 등 중국에 체류 중인 아프리카인들을 차별대우한 것에 대해 왕 부장에게 항의 서한을 보낸 바 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